최종업데이트 : 27/04/2025
조회수 :
대한민국 풍수지리 계보 총정리
풍수의 본질은 결국 '하늘과 땅의 이치에 순응하며, 인간의 삶을 조화롭게 한다'는 데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국내 풍수지리학파 전수계보와 특징 정리
1. 형기위주파 (나경무용론)
- 장용득 (고인, 서울)
《명당론》 저자. 형기중시 풍수.
제자 : 김종철(정암), 박시익- 김종철 (서울)
《명당요결》, 《명당백문백답》 저자
제자 : 신광주, 지종학, 김두규 - 박시익 (서울, 건축사)
《풍수지리와 건축》 저자 - 지종학 (서울)
풍수 전문사이트 운영자, 나경무용론자 - 김두규 (전주, 우석대)
《지리신법》, 《명산론》 번역
- 김종철 (서울)
- 손석우 (고인)
《터》 저자, 김일성 사망 예언으로 유명 - 최창조 (자생풍수파, 이기무용론)
《금낭경》 번역
제자 : 성동환(대구한의대), 최원석(대구한의대) - 허찬구 (부산)
《장서》, 《지학》 번역
2. 포태파(음택) · 팔택파(양택)
- 지창룡 (고인)
《한국지리총람》 저자 - 박제도 → 박종득 → 고제희, 신석우
- 고제희 (서울)
(사)대동풍수지리학회 회장, 《쉽게 하는 풍수공부》 저자 - 신석우 (서울)
삼합법 연구 후 현공풍수 이론 연구 전환
- 고제희 (서울)
- 신광주 (서울)
《정통풍수지리학원론》 저자- 제자 : 정경연(정통풍수지리학회), 임수현(한국풍수지리학회)
- 신평 (서울)
《지리오결》 번역, 현문풍수지리학회 운영 - 김경훈 (서울)
《양택삼요》 완역, 행운풍수지리학회 회장
3. 현공이기파(玄空派) + 형기풍수
- 최명우 ((사)대한현공풍수지리학회)
《현공풍수의 이론과 실제》, 《시간과 공간의 철학 현공풍수》 저자
전국 각지에 지회 조직- 백창곤(광주), 박진열(광주), 오승민(여수), 현천석(대전), 정경섭(이리), 신석우(남양주), 편은범(서울), 이공원(서울)
- 호경국파 (대륙 현공풍수)
- 세준스님(서울) : 《웰빙 현공풍수학》 저자
- 송두원(서울, 고인)
4. 형기위주풍수파 (포태법 부정)
- 유종근 (서울, 이수학회)
《한국풍수의 원리1·2》, 《풍수정설》 저자
제자 : 최영주(《신한국풍수》 저자) - 박봉주 (광주)
《실전풍수입문》 저자, 포태법 적중률 분석
5. 정음정양파 (《입지안전서》 이기파)
- 철산 (부산)
《입지안전서》, 《지리정기》 번역
제자 : 금정 김종철(서울), 정원광(서울)
6. 통맥법
- 박광서 (광주, 노산)
《통맥정경》 저자
제자 : 윤갑원 - 윤갑원 (서울)
《정통통맥지리》 저자 - 이명석 (상주)
《명산의 혈을 찾아서》 저자
7. 명당도록파
- 장익호 (서울, 고인)
《용수정경》, 《유산록》 저자
제자 : 김이중(광주 호남대 교수) - 이규상 (전주, 고인)
《천하명당 여기있다》 저자
8. 종합풍수파
- 김기선 (대구)
《풍수지리학개론》 저자, 대구한의대 강의
9. 기타 분야
(1) 수맥파 · 지맥파(氣감지)
- 임응승 신부, 신현성, 이주한, 남기인, 범조 등
- 대표기관 : 한국기풍수지리학회(남강 신현성), 동방풍수연구원(이주한)
(2) 풍수 관련 기타 활동
- 영남대 교수 김원대, 참풍수지리학회 한성 최대영, 동북아풍수지리학회 송현 최무웅 등
맺으며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 풍수지리학파의 계보는, 하나하나의 학맥과 이론적 전개가 모두 깊은 연관성과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형기 위주, 포태·팔택 중심, 현공이기파, 정음정양파, 통맥법, 명당도록파 등 다양한 흐름은 한국 풍수의 오늘을 만들었습니다.
풍수의 본질은 결국 ‘하늘과 땅의 이치에 순응하며, 인간의 삶을 조화롭게 한다’는 데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와 검증을 통해 현대 풍수가 더욱 깊고 바르게 자리 잡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