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최종업데이트 : 02/05/2025
조회수 :

와혈(窩穴)

풍수지리에서 혈장의 형태는 그 자체로 생기(生氣)의 응결 상태를 말해줍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고 생기를 품기 좋은 명당형, 바로 **와혈(窩穴)**입니다.
Written by: pham2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table of contents

🕳️ 소쿠리 명당의 비밀

“와혈(窩穴)”이란 무엇인가?

풍수지리에서 혈장의 형태는 그 자체로 생기(生氣)의 응결 상태를 말해줍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고 생기를 품기 좋은 명당형,
바로 **와혈(窩穴)**입니다.

일명 “소쿠리 명당”, 또는 **“쟁반 명당”**으로 불리는 이 형태는
형기론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혈형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와혈(窩穴)의 정의

‘와(窩)’는 움푹 파인 오목한 자리,
‘혈(穴)’은 기가 응결되는 명당의 중심을 뜻합니다.

즉, 와혈은 혈장의 모양이 마치 소쿠리나 쟁반처럼 오목하고 안정된 형태
바람과 물을 막아주며 생기를 모으는 데 최적화된 구조를 의미합니다.


🧺 왜 “소쿠리 명당”인가?

와혈의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적으로 오목하고 포근한 형태
  • 한쪽 부분이 길게 뻗어 나와 다른 쪽을 감싸주는 구조
  • 마치 **소쿠리(바구니)**나 쟁반처럼 생기를 담아내는 모습
  • 외부로부터 바람을 막고, 수기를 머금기 좋은 지세

이런 형태는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응집되므로
조상의 음택이나 생가(生家)로 매우 길지로 평가받습니다.


🏞️ 와혈의 형국적 장점

  1. 바람을 막고(藏風)
    혈장이 외부와 단절되지 않고 생기를 잃지 않음.
  2. 물이 머물고(聚水)
    주변의 수맥과 지형에 의해 수기가 오래 머무름.
  3. 혈장의 기운이 가라앉지 않고 응결
    주위 산세가 혈장을 보호하며 생기 중심을 이루게 함.
  4. 조형미가 뛰어남
    자연스러운 지형 흐름 속에서 미적 균형을 이루므로
    형기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형세로 간주됨.

📷 실제 지형에서 와혈을 찾는 법

  • 주변 산이 U자형 또는 반원형으로 감싸는 형세
  • 중심부가 약간 움푹 들어가 있으면서도 배수가 잘되는 구조
  • **전순(氈脣)**이나 **입수맥(入首脈)**이 혈장으로 기를 공급
  • 혈 뒤의 **입수두뇌(入首頭腦)**가 혈을 단단히 받쳐줌

📌 필요하시면 와혈 형상을 보여주는 실제 지형도 예시도 함께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항목설명
정의소쿠리나 쟁반처럼 오목한 혈장 형태
별칭소쿠리 명당, 쟁반형 혈장
구조한쪽이 길게 뻗어 다른 쪽을 감싸는 형태
장점기가 모이고 흩어지지 않으며 수기 응결에 유리
위치 판별포근한 곡선 지형, 전후좌우 보호산 확보, 물길이 안정적

RELATED POSTS

Check other posts you may like
2025년 04월 29일

📜 24절기의 유래

2025년 04월 29일

금녕김씨 본관과 지파 이야기 – 뿌리를 나누고 뜻을 잇다

2025년 04월 29일

금녕김씨의 뿌리를 찾아서

2025년 04월 29일

감여도(堪輿圖)

2025년 04월 28일

양택풍수 심화편 (사례·예시 포함)

2025년 04월 28일

양택풍수 심화편: 대문, 안방, 부엌

1 2 3 7
magnifier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