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최종업데이트 : 02/05/2025
조회수 :

전순(氈脣)

🪨 전순(氈脣) – 혈 앞을 지켜주는 암석의 입술 풍수에서 혈(穴)은 생기의 중심이자, 음양의 기운이 응결되어 맺히는 명당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기운이 […]
Written by: pham2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table of contents

🪨 전순(氈脣) – 혈 앞을 지켜주는 암석의 입술

풍수에서 혈(穴)은 생기의 중심이자, 음양의 기운이 응결되어 맺히는 명당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기운이 좋은 곳이라도 외부로부터 생기를 보호해주는 구조물이 없다면, 그 혈은 안정될 수 없습니다. 바로 이 역할을 수행하는 지형적 요소가 **전순(氈脣)**입니다.

🌄 전순이란?

전순은 문자 그대로 **‘양탄자(氈)의 입술(脣)’**이라는 의미입니다. 혈장 앞, 바로 맞닿은 위치에 자리한 이 전순은 혈이 깔고 앉은 지기(地氣)를 흩어지지 않도록 붙잡아주고, 외부의 칼바람이나 수기(水氣)의 침범으로부터 혈을 **지지(支持)**하고 **보호(保護)**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위치: 혈의 정면, 가장 가까운 전방에 자리
📍 형태: 주로 낮고 넓적한 암석 또는 작은 언덕
📍 기능: 혈의 기운을 가두고,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혈의 중심을 안정화

🧱 전순의 비유 – 자연이 만든 입술

전순은 마치 생기를 품은 어머니의 품 속을 감싸는 입술처럼 부드러우면서도 단단해야 합니다. 너무 높거나 날카로우면 생기를 막거나 꺾고, 너무 낮거나 흩어지면 보호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바위처럼 평평하고 묵직한 구조가 이상적입니다.

🧭 정혈법에서 전순의 의미

풍수의 **정혈법(定穴法)**에서는 혈장 주변의 여러 요소가 혈의 적합성을 결정짓습니다. 이 가운데 전순은 혈 앞쪽에서 ‘진입하는 기운’을 다듬고, 혈 속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돕는 입구 장치로 여겨집니다.

정혈에 필요한 구성:
내룡(來龍) → 태(胎) → 식(息) → 잉(孕) → 육(育) → 혈
그리고 입수, 선익, 전순, 토색 등의 외형 조건


전순은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생기를 온전히 품기 위한 **‘혈의 입구이자 방패’**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풍수에서는 이처럼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작지만 결정적인 요소 하나하나가 모여 큰 길흉을 결정짓습니다.전순(氈脣)
혈장의 바로 앞에 맞닿아 있으면서 혈장의 생기를 보호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통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RELATED POSTS

Check other posts you may like
2025년 04월 29일

금녕김씨 본관과 지파 이야기 – 뿌리를 나누고 뜻을 잇다

2025년 04월 29일

금녕김씨의 뿌리를 찾아서

2024년 01월 16일

조산(朝山)

2024년 01월 16일

정혈법(定穴法)

2024년 01월 16일

정감록 (鄭鑑錄)

2024년 01월 16일

입혈맥(入穴脈)  입수맥(入首脈)

magnifier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