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한국잔디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모뉴먼트 +
첨부파일
성분/성상
- 유효성분 : 트리플록시설퓨론소듐(trifloxysulfuron-sodium)–72.5%
- 계 통 : 설포닐우레아계
- 제 형 : 입상수화제(WG)
포장단위
- 20g
제품설명
모뉴먼트는 신젠타에서 개발한 설포닐우레아계 약제인 트리플록시설퓨론 소디움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초제이다. 모뉴먼트는 주성분이 72.5% 함유되어 있으며 난지형잔디인 한국잔디, 고려지 등에 발생하는 잡초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며, 잡초발생초기 뿐만아니라 잡초 발생전에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등록된 제초제들에 비하여 적은 약량으로 우수한 약효를 발휘함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도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이다. 또한 모뉴먼트는 잔디 휴면기에 새포아풀, 클로버 등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특징 및 이점
- 유연하게 약제처리시기 조절
– 발아 후 처리시 강력한 속효성과 발아전 처리시 충분한 잔효력을 발휘하여 다른 어떤 약제보다 약제처리시기 폭이 넓다.
– 새포아풀에 대한 뛰어난 경엽처리 효과 - 광범위 제초제로서 아름다운 골프장 유지
– 골프장에 문제시되는 주요 초종(화본과, 광엽잡초, 사초과 등)에 대하여 적용범위가 넓다. - 난지형 잔디에 대한 안전성
– 모뉴먼트는 조성된 난지형 잔디에 적용 가능하다.
– 그러나 한지형잔디에는 심한 약해를 나타냄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
– 포유류 및 수생 생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나타낸다.
– 냄새 없는 입상수화제 제형으로 분진 발생을 막아 주고 작업자 및 골퍼를 보호해 준다.
사용법
등록상황
작 물 명 | 적 용 잡 초 | 사용적기 | 물20ℓ당 사용약량 | 1000㎡(10a)당 사용량 |
한국잔디 |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 잡초생육초기 (바랭이 3엽기 이내) | 0.8g | 150~200ℓ(1ℓ/㎡) |
외국(일본) 시험에 의해 활성이 확인된 결과
잡초 | 함량 / 살포시기 | ||||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 0.003 g/㎡ | 0.0045 g/㎡ | ||
잡초 발아전 | 잡초 발아후 | 잡초 발아전 | 잡초 발아후 | ||
Poa annua | 새포아풀 | ● | ● | ● | ● |
Digitaria ciliaris | 바랭이 | ◎ | ◎ | ● | ◎ |
Erigeron canadensis | 망초 | ● | ● | ● | ● |
Erigeron sumatrensis | 큰망초 | ● | ● | ● | ● |
Erigeron annus | 개망초 | ● | ● | ● | ● |
Conyza bonariensis | 실망초 | ● | ● | ● | ● |
Senecio vulgaris | 개쑥갓 | ● | ● | ● | ● |
Centipeda minima | 중대가리풀 | ● | ● | ● | ● |
Taraxacum officinale | 서양민들레 | ● | ● | ● | ● |
Persicaria longiseta | 개여뀌 | ● | ● | ● | ● |
Cerastium glomeratum | 점나도나물 | ● | ● | ● | ● |
Stellaria media | 별꽃 | ● | ● | ● | ● |
Sagina japonica | 개미자리 (가을방제) | ● | ● | ● | ● |
Sagina japonica | 개미자리 (봄 방제) | ○ | △ | ◎ | ○ |
Vicia angustifolia | 살갈퀴 | ● | ● | ● | ● |
Trifolium repens | 토끼풀 | ● | ● | ● | ● |
Kummerovia striata | 매듭풀 | △ | △ | △ | △ |
Euphorbia supina | 애기땅빈대 | ○ | ○ | ○ | ○ |
Veronica arvensis | 선개불알풀 | ◎ | ● | ◎ | ● |
Veronica persica | 큰개불알풀 | ○ | ○ | ◎ | ◎ |
Mazus pumilus | 주름잎 | △ | △ | ○ | △ |
Cardamine flexuosa | 황새냉이 | ● | ● | ● | ● |
Capsella bursa-pastoris | 냉이 | ● | ● | ● | ● |
Portulaca oleracea | 쇠비름 | ○ | △ | ○ | △ |
Lamium amplexicaule | 광대나물 | ● | ● | ● | ● |
Lamium purupureum | – | ● | ● | ● | ● |
Cyperus brevifolius | 가시파대가리 | ● | ● | ● | ● |
Cyperus microiria | 금방동사니 | ● | ● | ● | ● |
● : 효과우수, ◎ : 적용가능, ○ : 효과저조, △ : 효과없음
추천방제력
효과적인 사용방법 : 모뉴먼트 40g/10,000㎡(0.004g/㎡)
-1,000ℓ의 물통에 20g을 넣어 5,000㎡를 처리한다.
발아전 처리제인 Prodiamin 등과 혼용하면 약제처리 시기폭을 넓힐 수 있다.
– 일년생 잡초에 확실한 살초효과를 나타내는 모뉴먼트와 긴 잔효력을 나타내는 발아전 처리제를 혼용하면 약제처리시기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더 안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약제혼용처리
-단용처리하여 효과가 떨어지는 광엽잡초는 광엽제초제를 혼용하면 모뉴먼트 단독으로 방제하기 어려운 씀바귀, 제비곷, 매들풀, 주름잎, 질경이, 참소리쟁이 등까지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외국 적용사례
(일본 등록 기준)
작 물 명 | 적 용 잡 초 | 사용적기 | 사용약량(g/㎡) | ㎡당 사용량 |
한국잔디 | 파대가리 | 잡초발생초기~생육기 | 0.003~0.006 | 150~250ml |
일년생 잡초 | 잡초뱔생초기~생육기 | |||
잡초 발생초기 ~생육기 | ||||
참새피류 | 잡초 생육기 | 0.0045~0.006 | ||
띠 | 잔디생육기(띠 출수전까지) | |||
비농경지 | 일년생잡초 및 다년생 광엽잡초 | 생육기 또는 잔디를 깎은 후의 재생기 (초장 30cm이하) | 0.006~0.012 | 100ml |
다년생 화본과 잡초 |
주의사항
약효, 약해 주의사항 | |
1. 이 농약을 섞어 뿌리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당해년도에 신젠타코리아(주)에서 제공한 농약혼용가부표를 확인하여야 하며, 혼용이 불가능하거나 혼용가부표에 없는 경우에는 절대로 섞어 뿌리지 마십시오.2. 이 농약은 잔디밭이 완전히 조성된 들잔디, 금잔디 등 난지형 잔디에만 안전합니다. 새롭게 파종하였거나, 뗏장을 떼어낸 잔디밭 등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3. 이 농약은 벤트그라스, 블루그라스, 라이그라스 등 한지형잔디에는 심한 약해가 있으므로 약액이 한지형잔디로 흘러가거나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사지 등에는 사용하지 마십시오.4. 이 약제는 토양에만 처리되었을 경우 약해 등 문제가 없으나 약액이 비산되어 주위의 작물이나 한지형 잔디, 화초류, 수목의 잎에 묻으면 낙엽, 가지선단 고사 등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약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십시오.5. 약제처리 24시간 이내 강우가 예상될 때는 약제처리를 피하여 주십시오.6. 약제 살포 후 살포기구, 작업자 또는 골프를 치는 사람들에 의해 약제가 서양잔디에 접촉될 경우 약해가 나타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7. 한지형 잔디에 직접 또는 그 인접지역의 한지형잔디로부터 약 28m이내에 처리하지 마십시오. 약제 처리 후 마른 상태라도 아침 이슬, 강우, 관수 등에 의하여 용출된 약제가 작업기구, 작업자, 골프를 치는 사람 등을 통하여 한지형 잔디에 접촉될 경우 약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8. 이 약제는 서서히 작용하는 특성이 있어 잡초를 완전히 고사시키는데 봄. 여름처리는 30일, 가을처리는 60일 정도가 소요됩니다.9. 이 약제를 처리한 후 다른 작물을 재배하면 생육이 억제되거나 고사되는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약제처리 후 1년 동안 다른 작물을 파종하거나 정식하지 마십시오.10. 잔디의 생육이 불량한 경우나 한여름의 고온기에는 생육이 억제되거나 잔디잎 끝이 황변되는 약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11. 약제살포 후 3일 이내에 잔디를 예취할 경우 잡초방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니 약제처리 후 3일 이후에 잔디를 예취하십시오.12. 바랭이, 강아지풀, 피 등 일년생 화본과와 쑥, 토끼풀, 향부자 등 다년생 잡초, 방동사니, 파대가리 등 사초과 잡초, 새포아풀 등에는 효과가 우수하나 까마중, 큰개불알풀, 닭의장풀, 쇠비름, 제비꽃, 마디풀, 쇠뜨기, 억새 등에는 효과가 떨어집니다.13. 약제를 살포할 때 전착제를 가용하면 약액이 잡초의 경엽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효과가 더욱 안정적으로 나타납니다. | |
취급 및 기타 주의 사항 | |
1. 약을 뿌릴 때에는 바람을 등지고 뿌리시되 마스크,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며 작업후에는 입안을 물로 헹구고 손, 발, 얼굴 등을 비눗물로 깨끗이 씻으십시오.2. 뚜껑을 열 때(봉지를 뜯을 때) 신체(눈,코,입,피부 등)에 내용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3. 약제를 희석할 때는 작은 용기에 충분히 녹인 후 살포기에 주입하여 주십시오.4. 사용 후 남은 희석액과 살포기를 씻은 물은 하천 등에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처리하십시오.5. 신체에 이상(감기, 알레르기, 임신, 천식, 피부병 등)이 있을때는 약제 살포 및 취급을 금합니다.6. 이 농약은 잘 밀봉한 뒤 햇빛을 피하여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십시오.7. 본 제품은 농약이므로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지 마십시오.8. 농약 살포 전.후에는 살포기구(약통, 바퀴, 노즐, 약줄, 약대 등)를 반드시 세척하십시오.9. 약제 살포기를 씻을 때는 약통의 안쪽 윗부분을 포함하여 내부를 씻으십시오. 약제 탱크에 깨끗한 물을 가득 채운 후 펌프를 가동시켜 충분히 순환시킨 후 이 물의 반은 배수관을 통하여 버리고 나머지 반은 노즐을 통해 분무하여 빼내십시오. 이 과정을 3회 이상 수행하십시오. | |
취급제한 기준 | |
1. 이 농약은 의약품, 식료품 또는 사료의 보관장소와 구분하여 보관하십시오.2. 사용한 빈 병을 마을 수집장에 모아두면 농협 또는 한국환경자원공사에서 수거하고 있습니다. (한국환경자원공사에서 현금 지급함)/ 사용한 포장은 수집하여 안전하게 처리합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