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자료실

+가야 고분, 대성동고분군, 김해, 금관가야, 가야문화권 답사+

등록일
2023년 12월 25일
수정일
2023년 12월 25일
조회수

첨부파일

대성동고분군을 통해 본 금관가야의 고분문화
가야 고분, 대성동고분군, 김해, 금관가야, 가야문화권 답사

         ▶▶가야 묘제의 변천 위로부터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돌방무덤. 가야의 무덤은 주로 이런 식으로 변화되어 왔다  
ⓒ 대성동고분박물관 전시안내도록  가야 고분
가야에서는 수많은 고분들이 발굴조사 되었으며, 이들을 통해 우리는 당시의 유적과 유물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풍습을 유추해보면서 그들의 문화를 알아갈 수 있는데, 고분은 특히 유적들 중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안겨준다. 그 때문에 고고학에서는 고분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져왔고, 또 그동안 고고학이라는 학문의 발전은 이 고분연구로 인하여 크게 증진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야는 백제와 신라에 비해 국력은 미약한 편이었지만, 고분에 대한 자료는 매우 풍부하다. 중요한 고분군들도 여러 군데에 산포되어 있으며, 이는 가야가 하나의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아닌 지방분권적인 국가였기에 그 양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가야의 여러 주요한 고분군들 중에서도 김해의 대성동고분군과 고령의 지산동고분군은 전기와 후기가야 연맹체를 주도한 금관가야와 대가야의 고분군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특별하다.

금관가야와 대가야의 고분을 살펴보면 비슷한 점과 함께 서로 다른 점도 살펴볼 수 있다. 사실 이는 시대차이가 주원인으로 작용하는데, 가야의 고분문화 중 금관가야의 고분문화가 좀 더 이르고, 대가야의 고분문화는 좀 더 늦은 추세를 보여준다. 이는 고분이 집중적으로 조영된 시기가 서로 다르고, 고고학자들은 그 집중 조영된 시기를 각국의 전성기로 파악하고 있다.

가야문화권의 주요 고분은 돌널무덤,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굴식돌방무덤, 독무덤 등이 있다. 이 중 돌널무덤[石棺墓]은 주로 청동기시대에 사용되었고, 가야뿐만 아닌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된 묘제이다. 독무덤[甕棺墓]은 가야시대 전시기에 걸쳐 사용되었지만 주요 묘제는 아니었으며 주로 소형으로 제작되었다.

가야시대 주요 고분들, 즉 주로 지배층이나 널리 사용되었던 고분들을 순서대로 말하자면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돌방무덤, 그리고 굴식돌방무덤이다. 대성동고분군에서도 역시 이러한 고분들이 모두 나옴으로서 가야의 고분 변천 과정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성동고분군에서는 주로 널무덤과 덧널무덤에 관한 자료들이 풍부하게 제시되는데,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ㅁresearch data;금관가야 파헤치는 타임캡슐, 고분 속으로의 여행 – 오마이뉴스

magnifiercrosschevron-downchevron-down-circle